동계종목 결과정리 (24/25시즌)

2024. 12. 26. 01:56===동계올림픽종목===

업데이트 종목

 

알파인 스키

- 1차 극동컵* 남자 대회전 1경기 : 동메달(신정우) 노르웨이 선수 금-은

- 1차 극동컵 남자 대회전 2경기 : 은메달(신정우)-동메달(홍동관) 노르웨이 금

- 1차 극동컵 남자 회전 1경기 : 금메달(정동현)

- 1차 극동컵 여자 회전 1경기 : 은메달(최태희) 일본 금 (2경기는 최태희 4위. 일본-노르웨이-일본-한국 순)

- 1차 극동컵 남자 회전 2경기 : 금메달(정동현)-은메달(정민식)

 

*극동컵 : 알파인 스키에서, 한국은  FIS 월드컵에 출전이 불가능한 수준. 이에 따라 그 다음 급 대회인 극동컵 (Far east cup)이 가장 중요하다. 아시아 선수들만 출전하는 대회는 아니지만, 대체로 이 대회에서의 결과 = 아시아에서의 레벨 과 비슷한 급.  그보다 아랫급으로 FIS 컵이 있으나 이러한 대회까지는 쓰지 않음. 

알파인 극동컵 추후 일정 (총계 8차례 회전/대회전 경기 개최): 알펜시아 월드컵(1/31~, 회전 남녀 각 4회), 용평 월드컵(2/3~, 대회전 남녀 각 2회), 스가다이라코겐 월드컵(2/24~, 회전, 대회전 각 2회), 하쿠바월드컵(3/5~, 회전 각 2회). 

회전, 대회전 외에는 사실상 한국이나 아시아권이 하지 않는 종목이라고 보는 것이 무방함. 동계 아시안게임에서도 알파인 스키는 회전 1경기씩만 남녀로 치루어짐. 

 

바이애슬론

특별한 국제대회 참가 소식이 없다

 

봅슬레이 

- 1차 월드컵 봅슬레이 남자2인승 : 김진수/김형근 5위. 독일 1~3위 및 영국 4위. 

- 1차 월드컵 봅슬레이 남자4인승 DNS(기권) / 여자부 모노봅(1인승) 2인승은 출전권 없음

- 2차 월드컵 봅슬레이 남자2인승 : 김진수/김형근 기권

- 3차 월드컵 봅슬레이 남자2인승 : 김진수/김선욱 10위

- 김진수 김형근 조는 2023/24시즌 알텐부르크 월드컵 동메달 성과를 거둔 최근의 신규 결성조. 

 

크로스컨트리 

-2차 릴레함메르 월드컵 10km 출전 :남자부 변지영 82위 정종원 83위 등 / 스키애슬론 : 변지영 69위(완주자 중 최하위) 

  여자부 10km 프리 이의진 69위(최하위) / 스프린트 한다솜 62위(최하위)/  스키애슬론 한다솜 미완주 / 

-극동컵 남자부 10km 1차 이준서 8위 등 , 2차 정종원 8위 등 / 여자부 5km 1차 한다솜3위, 이의진 4위  2차 한다솜 우승, 이의진 준우승.

-11월 FIS 컵 대회 출전 등 일부 대회 결과는 더 있으나, 의미없는 수준의 순위. 안타깝습니다.

 

컬링 

범대륙선수권 여자부 김은지조(공식대표) 은메달. 남자부 이재범조(공식대표) 5위 (5위까지 세계선수권 진출권 확보)

투어 메이저 대회 여자부 : 투어챌린지 1부 하승연조 8강. 캐내디언 오픈 김은정, 하승연조 4강. 키오티내셔널 김은정 4강 하승연 8강

기타 마이너 투어 대회 우승/준우승 남자부: 스투셀스 토론토 남자부 정병진조 준우승, 핼리팩스 남자부 정병진조 우승 포트엘긴슈퍼스필 남자부 박종덕조 우승. 콤코 캐시스필 박종덕조 우승, 

기타 마이너 투어 대회 우승/준우승 여자부:앨버타컬링시리즈 김은지조 우승 / KW폴클래식 김은정조 준우승 / 프레스티지호텔클래식 강보배조 우승 / 앳킨스컬링서플라이즈 클래식 김수현조 우승 / 컬러스코너어텀골드 컬링클래식 김은지조 우승 / 스투셀즈 토론토탱카드 김은정조 우승 / MCT 챌린지 김수현조 준우승 / 앨버타컬링시리즈 1차대회 박유빈조 우승 / 새블그랑프리 하승연조 준우승 / 데칼브 슈퍼스필 강보배조 우승 김은정조 준우승 / S3그룹 컬링스타디움시리즈 강보배조 준우승 등. 

(대회는 세계에서 매주 두세개 정도 열리며 상금은 우승시 대략 수천~만 캐나다달러 수준. 메이저 대회는 10만단위)

 

 

피겨스케이팅 

-세부대회 결과는 나무위키 참고

https://namu.wiki/w/2024-25%20%ED%94%BC%EA%B2%A8%20%EC%8A%A4%EC%BC%80%EC%9D%B4%ED%8C%85%20%EC%8B%9C%EC%A6%8C

피겨 스케이팅의 국제 대회는 세계 및 4대륙선수권, 그랑프리시리즈, 챌린저 시리즈, 기타 대회들 순으로 구분되며, 현재 세계 및 대륙선수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챌린저급 이상 대회는 종료되었다. 

그랑프리는 선수들의 랭킹에 따라 1~2개 초청되며 시즌의 가장 중심적인 대회이다. 

 

-그랑프리 시리즈 결과 : 남자 싱글

차준환 : 스케이트 캐나다 남자 싱글 3위, 컵오브 차이나 기권

김현겸 : 컵오브 차이나 9위(데뷔전)

임주헌 : NHK트로피 12위(데뷔전. 최하위)

 

-그랑프리 시리즈 결과 : 여자 싱글

김채연 : 그랑프리드 프랑스 4위, 컵오브 차이나 3위, 종합순위 8위로 GP 파이널 탈락

위서영 : 스케이트 캐나다 11위 / NHK 트로피 7위   

김예림 : 스케이트 캐나다 12위(최하위) NHK 트로피 12위(최하위)   

윤아선 : 핀란디아 트로피 5위

 

-그랑프리 시리즈 결과 : 아이스댄스

-임해나&예콴 조는 캐나다계 중국/한국인 조이며 이번 시즌에 귀화 완료. 밀라노 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함. 

-2024 스케이트 캐나다 7위, 2024 핀란디아 트로피 9위,

 

-챌린저시리즈(CS)/주니어그랑프리(JGP)시리즈 메달

-남자싱글 ; 이재근 JGP라트비아 은 / 서민규 JGP 체코 금, JGP 파이널 은, JGP 폴란드 동 

-여자싱글 챌린저시리즈: 김채연 CS 니스 금, 윤아선 CS 네펠라 금 

   -JGP 여자 싱글은 김유성 금/은 수상 포함 1금2은3동 획득. 김유성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5위

-아이스댄스 ; 임해나&예콴 CS 바르샤바 컵 동메달

 

프리스키 

 

1) 하프파이프

이승훈 하프남자부 카드로나 월드컵 6위 시크릿가든 월드컵 37위 코퍼 월드컵 17위

문희승 하프남자부 카드로나 월드컵 28위 시크릿가든 월드컵 38위 코퍼 월드컵 36위

신동호 하프남자부 시크릿가든 월드컵 40위

김다은 하프여자부 카드로나 월드컵 8위

장유진 하프여자부 카드로나 월드컵 14위

 

2) 빅에어

허승욱 빅에어남자부 추르월드컵 46위

 

3) 모글/듀얼모글

윤신이 모글여자부 

루카월드컵 모글 26위. 

이드레퍌 월드컵 모글 29위.

바쿠월드컵 모글 23위 / 듀얼모글 27위

 

이윤승 모글남자부 

루카월드컵 모글 39위 

이드례팔 월드컵 모글 14위

바쿠월드컵 듀얼모글 27위

 

정대윤 모글남자부 

루카월드컵 모글 28위 

이드례팔 월드컵 모글 22위 

바쿠월드컵 모글 16위 / 듀얼모글 12위

 

아이스하키 

남자부

2026 밀라노올림픽 예선 탈락 확정 : 2차예선(원래 3차예선이었으나 참가국수 부족으로 2차로 변경) 조 2위 (2승1패) 탈락.  

2025 아시아선수권 (24년 11월6일 ~11월 9일) 남자부 1승2패. 카자흐스탄 상대로 1승을 거뒀으나 중국에 연장패, 일본에 패 등으로 4팀 중 3위 기록.

2025 아시안게임 출전예정

2025 4월 세계선수권 디비전1B(3부리그) 출전예정*

* 탑디비전 16팀. 디비전1A 6팀임. 한국팀은 남녀 공히 지난해 디비전1A 전패 최하위

 

여자부

2026 밀라노올림픽 예선 진행중 (1차예선 2승). 12월15일 폴란드전 승리시 최종예선 진출. 2025년 2월초 경기.

2025 아시아선수권 (24년10월31~11월3일) 여자부 3패(연장전패 1 포함) 4위/4팀.

2025 아시안게임 출전예정.

2025 4월 세계선수권 디비전1B(3부리그) 출전예정

 

루지 

2차 인스부르크 월드컵 여자부 정혜선 29위. 네이션컵 신유빈 29위

3차 월드컵 네이션컵(2부) 정혜선 19위 신유빈 23위 

남자 선수들은 현재 출전 선수가 없는듯. 과거 조들은 은퇴하고 현재 유스들이 대표로 교체되었으나 실력이 안되는듯. 

 

노르딕복합 

별도 국가대표 없는듯

 

쇼트트랙 

-월드투어 9종목 메달 총합계 및 선수별 메달 (대회당 9종목. 남녀 각 500,1000,1500 개인전 6종목. 단체전 3종목-남/녀/혼-)

월드투어 1차 대회 1금3은1동

월드투어 2차 대회 1금4은1동

월드투어 3차 대회 1금3은2동

월드투어 4차 대회 2금1은4동

총계 5금11은8동

 

-개인전 메달 획득자

김길리 2금1은2동

박지원 1금2은

최민정 1금1은3동

장성우 1은1동

단체전 1금6은2동

 

-기타 대회 

사대륙선수권은 취소되었으며 차후 아시안게임, 세계선수권 등 진행

 

스켈레톤 

-월드컵 남자부 

1차 김지수 7위 심형준 22위 / 

2차 김지수 5위 심형준 23위 / 

3차 김지수 13위 심형준 27위 / 

4차 김지수 24위 / 

5차 김지수 20위 심형준 30위

-월드컵 여자부 1차 홍수정 33위 / 2차 홍수정 26위 / 3차 홍수정 29위 / 4-5차 참가자x 

 

-아시안컵 평창대회 남자부 1레이스 여찬혁 2위. / 3레이스 신연수 2위 여찬혁 3위 / 4레이스 여찬혁 1위  / 여자부 3레이스 김민지 2위 / 4레이스 김예림 1위 정예은 2위 등.

-아시안컵 옌칭대회 여자부 1레이스 김민지 3위/ 2레이스 김민지 3위 /  3레이스 홍수정 1위 김민지 3위 / 4레이스 홍수정 2위 정예은 3위

-아시안게임에는 썰매가 없으므로, 잔여 월드컵 및 세계선수권 정도만이 남은 대회. 

 

 

스키점프 

장선웅, 최흥철 두 명이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있음. 장선웅은 하위 단계인 FIS cup위주로 출전중인 유망주. 최흥철은 40대의 과거 '국가대표' 세대. 현재 전체적으로 다들 하위권으로 특기할만한 성적 없음.

 

산악스키 

별도 국가대표 없는듯

 

스노보드 

1) 회전/대회전 (스노보드알파인)

미링 1차 대회전 : 김상겸 2위 , 이상호 3위 조완희 12위 등 / 여자부 정해림 4위

미링 1차 회전 : 이상호 9위 김상겸 19위 조완희 21위 등. / 여자부 정해림 15위. 

얀칭 2차 대회전 : 이상호 5위 김상겸 9위 조완희 28위 등.  / 여자부 정해림 DNF

얀칭 2차 회전 : 김상겸 18위 마준호 36위

카레차 3차 대회전 : 이상호 5위 김상겸 6위 홍승영 36위 등 / 여자부 정해림 32위

담페초 4차 대회전 : 김상겸 5위 홍승영 27위 이상호 31위 마준호 38위/여자부 정해림 20

다보스 3차 회전 : 남자부 이상호 8위 홍승영 33위 등. / 여자부 정해림 20위

 

2) 하프파이프/슬로프/빅에어 (주로 하프파이프 대표팀)

슬로프스타일 1차 카드로나 월드컵 : 참가 없음 

 

빅에어 1차 추르 월드컵 : 남자부 이동헌 7위, 여자부 유승은 7위

빅에어 2차 베이징 월드컵  : 남자부 이동헌 53위(최하위) 여자부 참가없음.

 

하프파이프 1차 시크릿가든(중국 허베이) 월드컵 : 이채운 7위.(1~6위 중 5명 일본) 이지오 12위 김건휘 17위 여자부 최나윤 26위

하프파이프 2차 코퍼(미국) 월드컵 : 이채운 5위, 김강산 24위, 김건휘 40위, 여자부 최나윤 21위

*여자 하프파이프 선수 최가온은 현재 부상중인듯

 

3) 크로스

현재 국대로 등록된 것은 남자부 우진, 여자부 우수빈. 우진 선수는 현재 국제대회 활동중이지 않으며 우수빈 선수는 올해 첫 대회로 방금 진행된 월드컵 33위 기록. 

 

스피드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1은3동 참사

-팀 스프린트 여자부 은, 김민선 500 동, 김준호 500 동, 팀 추발 여자부 동

 

1차대회 division A  김민선 1차레이스 3위 김준호 1차레이스 5위 등. 

2차대회 division A 김준호 2차레이스 3위, 김민선 1차레이스 7위, 이승훈 매스스타트 7위 가 최고 성적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