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8. 16. 23:42ㆍ역도 (Weightlifting)
1) 역도 파리 올림픽 예선 과정
(국가순위 10위 이내일 경우 입성 가능. 단 성별 당 3명 제한)
체급 | 남자 61kg | 남자 73kg | 남자 89kg | 남자 102kg | 남자 무제한 |
선수 | 신록 등 탈락 | 박주효 역도월드컵 345kg 국가순위 6위 |
유동주 역도월드컵 375kg 국가순위 9위 |
장연학 23년세선 399kg 국가순위 6위 |
조성빈 등 탈락 (*국가 3명 제한) |
체급 | 여자 49kg | 여자 59kg | 여자 71kg | 여자 81kg | 여자 무제한 |
선수 | 전체 탈락 | 김수현 역도월드컵 245kg 국가순위 5위 |
박혜정 역도월드컵 296kg 국가순위 2위 |
2) 역도 파리 올림픽 본선 과정
체급 | 관련 결과 |
남자 73kg 박주효 |
인상 147 / 용상 187 / 합계 334 (동메달 기록 344kg) 본인 기록보다도 10kg 이상 낮은 부진. 상위권 유력 후보 3인이 실격당하는 (스즈용, 마요라, 수하레브) 속에서도 매우 낮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코치와의 불화설이 나오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 장기인 용상 분야에서 195kg 정도를 기록했어야 하는 상황인데 이에 대해 준비가 미흡. |
남자 89kg 유동주 |
인상 168 / 용상 203 / 합계 371 (동메달 기록 384) 자신의 기록을 짜내기는 했으나, 3번째 올림픽에서 개인 최고 순위인 6위를 마크한 데 만족. 메달권과의 애초 격차가 매우 컸습니다. |
남자 102kg 장연학 |
인상 173 / 용상 200 / 합계 373 (동메달 기록 402) 계획에 실패하며 하위권으로 대회를 마무리했습니다. 본인이 399kg까지 들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매우 아쉬운 성과. |
체급 | 관련 결과 |
여자 81kg 김수현 |
인상 110 / 용상 140 / 합계 250 (동메달 기록 267) 기록차를 줄이고자 무리했으나, 지속적인 자세불안 및 프레스아웃 문제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
여자 무제한 박혜정 |
인상 131 / 용상 168 / 합계 299 (은메달 수상) 체급리뉴얼 이후의 한국 신기록 및 본인 신기록인 296kg을 깼습니다. 합계 299kg은 도쿄올림픽 장미란 (326kg) 이후 당연하게도 한국 여자 선수 올림픽 최고 기록이며 2008년 이후 역대로 올림픽에서 300kg 이상의 결과는 저우루루(중국) 타티아나(러시아.이후 도핑 적발. ) 멩수핑(중국) 김국향(북한) 리원원(중국.2회 기록) 뿐이었습니다 |
박혜정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세계와의 큰 격차를 확인했습니다. 또한 대회 이후 코치진에 대한 불만 등이 나오는 등 대표팀 구성의 문제가 존재하기도 하는듯. 역도 분야가 국내외의 도핑 파문 등 여러모로 아쉬움이 있는 상황에서 전력 역시 박혜정을 제외하고 흔들리고 있는 것은 아쉽습니다.
3) 2024년 역도 잔여 주요 일정
2024년 9월 역도 주니어세계선수권
-한국 주목할 선수.
남 81kg 권대희 (344kg. 2006년생. 국내대회350kg까지 해봄. 작년 유스세계선수권 한국 유일한 2위 이내 입상(용상/합계) 선수. 주니어랭킹(비올림픽체급) 2위 및 AG 기준 메달권.)
ㄴ현재 89kg 급으로 월장하고 있으며 향후 89kg 또는 102kg 국대 가능성 높다고 보여짐. 위에 있듯이 만18세이며, 현재 89kg의 수장 유동주의 중량과 총 20kg 정도 차이나므로, 20대가 되면 충분히 89kg 국대급 기록이 나오리라 예상.)
그 외 조민재(남 61kg) 남지용(남 무제한) 등도 중상위권 노려볼 만.
- 작년 유스 레벨에서 활약한 박주현 (73kg, 최고 325kg. 시니어 국제대회 입상권 340대.), 여자부의 전희수(여 76kg, 최고 233kg(국내)/220kg(국제). 시니어 81kg 국제대회 입상권 250대. 김수현 AG 76kg 243kg) 등 가능성있는 2006~2007년생대 유망주가 많아 향후 LA 올림픽 대표선발전이 가열될 것으로 전망.
-올림픽 출전 여부를 막론하고 현재 국가대표 중 2000년대생은 박혜정을 제외하면 남자 61kg 대표 신록과 여자 81kg에서 김수현과 경쟁하던 김이슬 뿐.
- 현 시점 차기올림픽 국대가능 선수 예상 (2028년 기준 만 31세 이하--현 국대 최고령인 93년생의 현재나이 기준-- 선수 중 올림픽본선기록 가능해 보이는 선수들)
-남자 : 신록 (61kg, 2002년생), 박주효 (73kg 1997년생), 권대희 (89kg 2006년생) 장연학 (102kg. 1997년생)
-여자 : 김이슬 (81kg 2000년생), 박혜정 (무제한 2003년생)
2024년 12월 역도 세계선수권
-한국 주목할 선수
여 무제한 박혜정 : 과연 300kg 돌파 가능할 것인지 관건. 약물이었던 러시아 타티아나를 제외하고 비중국 선수가 세계선수권 해당체급에서 합계 300kg를 돌파한 것은 최근 년도에는 북한의 김국향(303kg, 2019년) 이 거의 유일했습니다.이번 세계선수권을 통해 박혜정은 세계 역대 레벨의 무제한급 선수 계보에 입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3-3) 그 이후 일정
이외에 2026년 이후로는 역도 세계선수권, 역도 대륙선수권, IWF대회(역도월드컵, 그랑프리) 를 통해 올림픽 예선 진행 및 2026 일본 아시안게임 등 참여 예정으로 보임.
파리올림픽 역도의 경우 도핑 문제 등의 관리를 위해 2년치의 세계선수권, 대륙선수권 및 IWF 전년도대회 (2회의 그랑프리 및 역도월드컵) 중 특정 대회 갯수를 채울 것을 필수로 하고 있음. 또한 해당 대회의 기록 중 최고기록을 예선기록으로 인정하였음. LA올림픽 역시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2026년 세계선수권을 시작으로 2027~2028 대륙선수권, 세계선수권 등을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역도 (Weightlif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시즌 결산 역도 기록 정리 (2) | 2024.12.14 |
---|---|
역도/대한민국/2024시즌/남자부 (작성중) (0) | 2024.10.14 |